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검색 검색 메뉴

KISDI Perspectives

[동향] 방송영상산업에서의 생성형 AI 활용과 시사점

  • 저자정은진,김예빈
  • 다운로드수938
  • 미리보기수852
  • 게재지KISDI Perspectives
  • 권호2024 October No.3
  • 페이지1-16
  • 발행일2024-10-21
  • 분류정보방송서비스 산업 시장
  • 원문보기 PDF 미리보기(새창 열림) PDF 다운로드
태그(Tag) 생성형 AI 방송영상산업

요약

● 방송영상산업에서 다양한 콘텐츠 제작 과정에 생성형 AI가 활용되기 시작하여 산업 전반의 변화를 촉발하고 있음
- 최근 생성형 AI에 대한 연구 개발(R&D)과 기업 투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파운데이션 모델의 실용화를 통해 생성형 AI 도구가 빠르게 확산됨
-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은 생성 AI 모델 (예: GAN, Diffusion, Transformer 등)을 기반으로 창작자의 질문을 입력 받아 능동적으로 새로운 결과물을 창출하는 것이 특징
- 최근 인간의 인지적 학습 방식을 모방하여 시각과 청각으로까지 다양한 양식(modality)의 데이터 입력과 출력을 지원하는 거대 멀티모달 모델(Large Multi-modal Model)로 고도화됨
● 생성형 AI는 방송 및 창작 산업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지만, 동시에 창작자의 권리나 지적재산권(IP) 침해 등 다양한 위기를 동반하고 있음
- 생성형 AI는 텍스트, 이미지, 영상, 오디오, 음악 분야에 두루 걸쳐 새롭고 효율적인 콘텐츠 생성을 가능하게 하며, 방송영상산업의 제작비를 절감하며 부가가치를 증대하는 데 기여함
- 기성 미디어 사업자는 생성형 AI 모델 훈련을 위한 콘텐츠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거나, 자사 콘텐츠로 파인튜닝한 생성형 AI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제휴를 맺는 등 생성형 AI 사업자와 새로운 협업 방식을 모색하고 있음
- 한편, 창작 업무 일부가 자동화될 경우 창작자의 권리 침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종사자들의 우려가 증가하고 원저작자의 허락 없이 무단으로 사용된 자료 또는 유명인의 사진·영상·음성 등 퍼블리시티권을 보호받는 자료가 생성형 AI 학습에 활용되었다는 문제제기가 있는 만큼 생성형 AI의 발전은 방송영상산업에 양가적인 영향을 미침
● 따라서 창작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공정한 대가를 보장하는 법적·정책적 장치 마련이 필수적이며, 지속 가능한 창작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

목차

1. 개요
2. 방송영상 산업에서 AI 적용범위 확대
3. 향후 전망 및 시사점
동일권호의 다른 논문

해당 보고서가 수록된 게재지 동일권호의 컨텐츠들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