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한국 청년 세대는 스마트폰이 없으면 금융부터 미디어 콘텐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반면, 노인 세대는 오히려 일상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최근 가속화되고 있는 디지털 전환은 기업들이 기존에 제공했던 아날로그 방식의 대면 서비스를 중단하는 결과도 가져왔다. 특히 고령층은 음식점에 있는 키오스크 이용에도 어려움을 겪다 보니 지자체에서 ‘키오스크 주문하기’ 교육 프로그램까지 운영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디지털 격차는 디지털 취약계층의 사회적 소통의 단절을 야기하고 사회 활동 기회와 경제적 이득의 격차로 이어지는 사회적 문제를 일으킨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에서 조사한 2023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에 따르면 일반 국민 대비 고령층의 디지털정보화 종합 수준은 73.3%로 노인 세대가 디지털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종합 수준만 보면 언뜻 보기에는 고령층 취약 수준이 심각하지 않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이는 한국이 높은 디지털 접근성을 가진 국가이기에 접근성 수준은 높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종합 수준은 접근성 이외에도 역량 및 활용 수준에 기반하는데 고령층 디지털정보화 역량 수준을 보면 일반 국민 대비 격차는 더 두드러진다. 고령층의 디지털정보화 접근 수준은 95.7%이지만 고령층의 디지털정보화 역량 수준은 56.5%로 절반 정도밖에 되지 않으며 활용 수준은 74.6% 정도이다.
이와 같은 디지털 격차는 단순한 불편함을 넘어 사회적, 경제적 불균형을 심화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고령층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지 못할 경우, 기본적인 서비스 접근조차 어려워져 생활의 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해 정부와 사회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몇 가지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디지털 교육 프로그램의 확대가 필요하다. 현재 일부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키오스크 주문하기’와 같은 교육 프로그램을 전국적으로 확대하고, 보다 체계적인 커리큘럼을 마련해야 한다. 이러한 교육은 단순한 기기 사용법을 넘어서 다양한 디지털 서비스 활용 능력을 키우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둘째, 디지털 접근성 향상을 위한 인프라 구축이 중요하다. 한국은 전반적으로 높은 디지털 접근성을 가지고 있으나 농어촌 등 디지털 인프라가 여전히 부족한 지역에서는 고령층이 디지털 기기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공공 와이파이 설치와 같은 인프라 확충이 필요하다.
셋째, 기업들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디지털 전환 과정에서 고령층을 배려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고령층 맞춤형 디지털 기기와 소프트웨어 개발을 장려해야 한다. 이를 통해 고령층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넷째, 세대 간 디지털 격차를 줄이기 위해 청년층과 고령층 간의 디지털 멘토링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청년들이 고령층에게 디지털 기기 사용법을 가르치고, 고령층은 청년들에게 경험과 지혜를 나누는 상호 교류의 장을 마련하면, 세대 간 이해와 소통도 증진될 것이다.
디지털 시대는 이미 우리 생활 깊숙이 자리 잡았다. 하지만 모든 세대가 이 변화를 동등하게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고령층의 디지털 소외는 단순한 기술적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통합과 포용의 문제다.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모든 세대가 디지털 혁신의 혜택을 골고루 누릴 수 있는 사회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참고문헌]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2024.01.), “2023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연합뉴스(2023.10.03.), “"무인주문기 무섭지 않아요"…고령층에 디지털 교육”. https://www.yna.co.kr/view/MYH202310030017006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