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검색 검색 메뉴

KISDI Perspectives

[정책동향] '슈퍼 선거의 해' 딥페이크 정치 콘텐츠 악용 사례 및 대응 방안

    • 저자정선민
    • 다운로드수63
    • 조회수41
    • 게재지KISDI Perspectives
    • 권호2024 May No.1
    • 페이지1-6
    • 발행일2024-05-31
    • 분류정보미래사회 문화, 이용자 보호
    • {totalTitle}
    • 원문보기 PDF 미리보기(새창 열림) PDF 다운로드
    태그(Tag) {tag}

    요약

    ● 딥페이크 기술을 활용한 허위 콘텐츠가 연예인뿐만 아니라 일반인, 정치인까지 대상으로 제작되어 SNS와 포털사이트를 통해 빠른 속도로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음
    ● '24년은 지난 4월 치러진 한국 총선을 포함하여, 유럽 의회 선거, 미국 대선 등 40개 이상 국가에서 선거가 실시될 예정으로 유권자의 혼란을 야기할 수 있는 딥페이크 정치 콘텐츠에 대한 우려가 커짐
    ● 실제 미국 뉴햄프셔 주 예비경선을 앞두고 당원들에게 투표 불참을 독려하는 바이든 대통령의 음성전화, 인도 유명배우의 특정 정당 지지 영상, 영국 노동당 대표의 폭언 음성파일 등 정치인이 부적절한 발언을 하거나 후보자를 지지하는 것처럼 조작된 영상 등 딥페이크 허위 콘텐츠가 선거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례가 발생함
    ● 딥페이크 정치 콘텐츠에 대한 국내외 규제 논의는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현재는 국내 공직선거법 개정과 미국의 일부 주 선거법에 의한 규제, 기업의 자발적 규제 등이 이루어지고 있음
    - 국내에서는 「공직선거법」개정으로 선거일 90일 전부터 딥페이크 영상 제작·유포 등을 금지함
    - 미국은 캘리포니아주, 텍사스주 등 일부 주 선거법에서 딥페이크를 활용한 선거운동 관련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음
    - 구글, 아마존 등 약 20개의 주요 빅테크 기업들은 인공지능으로 인한 민주적 선거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2024년 선거에서 인공지능의 기만적 사용 방지 기술 협약’에 서명함

    목차

    {toc}
    동일권호의 다른 논문

    해당 보고서가 수록된 게재지 동일권호의 컨텐츠들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표저자의 다른 논문

    해당 저자의 보고서 중 최근 5건이 표시됩니다.

    동일 주제별 연구자료

    해당 보고서와 동일한 주제를 가진 최근 5건의 자료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