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검색 검색 메뉴

보도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정책연구원, ‘제1회 디지털 대전환 메가트렌드 컨퍼런스’ 12월 9일 개최

    • 작성자 kisdi
    • 등록일 2021-12-09
    • 첨부파일 (KISDI 보도자료)KISDI 제1회 디지털 대전환 메가트렌드 컨퍼런스 9일 개최(12.8).hwp (KISDI 보도자료)KISDI 제1회 디지털 대전환 메가트렌드 컨퍼런스 9일 개최(12.8) (KISDI 보도자료)KISDI 제1회 디지털 대전환 메가트렌드 컨퍼런스 9일 개최(12.8).pdf (KISDI 보도자료)KISDI 제1회 디지털 대전환 메가트렌드 컨퍼런스 9일 개최(12.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정책연구원, ‘제1회 디지털 대전환 메가트렌드 컨퍼런스’ 12월 9일 개최

    디지털 대전환 시대,
    국민이 원하는 디지털 공동번영사회로


    o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정보통신정책연구원(원장 권호열)이 한국사회학회, 한국정치학회, 한국행정학회, 한국정책학회, 정보통신정책학회, 한국통신학회, 한국정보과학회와 1년 동안 함께 준비한 제 1회 디지털 대전환 메가트렌드 컨퍼런스가 [2030 디지털 대전환: 다시 설계하는 미래] 라는 주제로 12월 9일 서울 포스트타워에서 개최되었다. 
    o 1부 세션에서 4대 메가트렌드(▲ 플랫폼의 전방위적 확산 ▲ 자동화-노동 형태 다변화 ▲ 초개인화-맞춤화 ▲ 가상화-융합화)와 2030 디지털 대전환을 위한 10대 정책과제를 제시했으며 이어지는 2부 세션에서는 협력과 공존의 디지털 미래사회, 3부 세션에서는 혁신과 번영의 디지털 미래경제를 위한 청사진을 선보였다.
    o 디지털 대전환 과정에서 우리 국민들 중 다수는 급진적 혁신을 추진하면서도 그 결과가 모두에게 골고루 혜택으로 돌아가는 디지털 공동번영사회를 가장 바람직한 미래상으로 선택했고 피해야 할 미래상으로는 기득권 유지사회를 꼽았다.


    .............................................................................................................................
    < 제1회 디지털 대전환 메가트렌드 컨퍼런스 >
    ○ 일시 : 2021년 12월 9일(목), 10:00~15:40
    ○ 장소 : 포스트타워 대회의실/
              KISDI 온라인 생중계(http://kisdi-megatrend.com/)/
              과기정통부 유튜브(https://www.youtube.com/user/withmsip)
    ○ 주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주관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원장 권호열)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와 오는 12월 9일(목) 포스트타워 대회의실에서 ‘제1회 디지털 대전환 메가트렌드 컨퍼런스’를 개최하였다. 본 행사는 코로나 19 확산 예방을 위해 온오프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진행하였으며, KISDI 생중계 사이트(kisdi-megatrend.com)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유튜브(https://www.youtube.com/user/withmsip)를 통해 중계되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올 한 해 동안 2030년 디지털 대전환 메가트렌드를 도출하고, 기술, 경제·산업, 공공·행정, 사회·제도 등 4대 영역별로 이슈를 도출하며 이와 관련된 정책 어젠다를 발굴해 왔다. 디지털 대전환 메가트렌드 연구는 한국사회학회, 한국정치학회, 한국행정학회, 한국정책학회, 정보통신정책학회, 한국통신학회, 한국정보과학회 등 국내 굴지의 학회들과 협동연구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산학연의 전문가들이 연쇄적인 합동 워크숍 및 포럼을 개최하며 디지털 대전환의 미래상을 만들어왔다.

      먼저 1부 세션에서는 대표 발제를 맡은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디지털경제사회연구본부 이호영 본부장이 ‘2030 디지털 대전환: 다시 설계하는 미래’를 주제로 디지털 대전환 시대의 4대 메가트렌드와 10대 정책과제에 대해 발표하였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과 학회들이 공동 연구한 27개의 과제를 종합하는 이 발표에서 이호영 본부장은 디지털 대전환이 가져오는 것은 양극화가 아니라 변화이며 양극화는 우리가 선택하는 사회적 경로에 따른 결과일 뿐이라고 전제하고 국민이 원하는 미래상으로 디지털 공동번영사회를 제안하였다.

      2021년 11월에 20세에서 69세까지의 시민을 대상으로 성, 연령, 지역을 할당한 표본 2,626명을 온라인 조사(갤럽)*한 결과 시민들의 다수는 현재 한국 사회가 ‘기득권 유지사회’(42%)라고 인식했다. 현재와 같은 방식으로 디지털 전환이 실현된다면 다가올 미래상으로는 ‘디지털 공동번영 사회'(37.8%)와 ‘디지털 승자독식 사회‘(32.0%)가 가장 유력하다고 응답했지만, 한국 사회가 피해야 할 미래상으로 ‘기득권 유지사회’(47.3%)와 ‘디지털 승자독식사회’(33.7%)를 각각 선택함으로써 승자독식의 미래는 가능하나(probable) 바람직하지 않은(not preferable) 미래라고 생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한민국에 가장 바람직한 미래상으로는 ‘디지털 공동번영 사회'(62.3%)를 압도적으로 선택하여 강력한 혁신을 추구하면서도 성장의 과실을 다수가 나누는 사회에 대한 지향을 보여줬다. 
     

    • 디지털 대전환 미래상 대국민 조사 개요

    구분

    참고사항

    조사 대상

    만 20~69세 사이의 일반국민

    조사 지역/기간

    전국/2021년 11월

    조사 방법

    온라인 조사

    표본추출 방법

    지역, 성/연령별 할당 추출

    표본 수

    2,626명 (표본오차 : ±1.91%p)

    참고사항

    최종 완성된 2,626명 표본에 대해, 2021년 10월 주민등록인구통계 기준으로

    지역/성/연령별 사후가중을 주어 결과를 산출.


     2부 세션에서는 「협력과 공존의 디지털 미래사회」라는 주제로 ‘디지털 전환 시대 공공영역 패러다임 변화와 정부의 역할·기능 재정립’,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는 협력적 거버넌스 모형 설계’,‘디지털 대전환 사회의 새로운 기회와 갈등’,‘디지털 전환 시대 민주주의 발전을 위한 정치·외교 미래전략’의 발표가 이어졌다. 

      2부 세션의 첫 번째 발제를 맡은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이수영 교수는 새로운 정부 패러다임과 미래의 정부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방향성을 고민하고 정부서비스 혁신의 가능성과 사회문제 해결의 가능성을 탐색했다. 

      이어지는 발제에서 고려대학교 행정학과의 김현준 교수는 디지털 전환 시대의 혁신과 성장의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위기적 요소를 극복하기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의 모형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국민대학교 사회학과의 최항섭 교수는 다양한 변수와 시나리오 기법을 활용하여 2030년 디지털 대전환 미래사회를 예측하였으며, 이를 통해 도출된 7개의 시나리오를 선보였다.

      2부 세션의 마지막 발제로 대구가톨릭대학교 정치외교학과의 장우영 교수는 민주주의 혁신과 국제정치 재구조화의 시각에서 디지털 전환 환경에서의 쟁점과 전략을 모색했다. 

     관련 학회장들이 대거 참여하는 종합토론에서는 최흥석 교수(전 한국행정학회장, 고려대학교 행정학과)의 사회로 박순애 교수(한국행정학회장,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홍형득 교수(한국정책학회장, 강원대학교 행정학과), 장원호 교수(한국사회학회장,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사회학과), 김남국 교수(한국정치학회장, 고려대학교 정치학과)가 참여했다. 토론에서는 디지털 전환이 양극화와 사회갈등을 가속화시켜 오히려 공동체의 발전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는 새로운 미래 설계에 대한 논의들이 이루어졌다. 

      오후 3부 세션에는 「혁신과 번영의 디지털 미래경제」라는 주제로 ‘플랫폼 경제의 발전을 위한 경쟁 정책’, ‘디지털 전환으로 인한 산업·경제의 변화와 국가의 미래전략’, ‘디지털 대전환 시대 기술·산업 혁신 정책’,‘지속가능한 디지털 경제 실현을 위한 기술 R&D 전략’의 발표가 마련되었다. 

      3부 세션의 첫 발제는 서강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의 홍대식 교수가 맡아 플랫폼 시장의 경쟁 구도의 변화에 따른 경쟁정책 패러다임 전환의 요소를 단계별로 제안했다.
      뒤이어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의 김도훈 교수는 디지털 대전환을 통한 서비스화 중심 경제(servitization-oriented economy)의 효과를 계량적으로 분석한 연구 결과를 제시하며 디지털 전환의 사회경제적 기여 효과를 논했다.

      세 번째로 숭실대학교 전자정보공학부의 신요안 교수는 디지털 대전환이 뉴노멀로 정착되고 새로운 기술·산업 생태계가 조성될 2030 미래를 위해 초협력  (Hyper-Collaboration)”을 통한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한국형 기술·산업 생태계 모델 및 정책을 제안했다.

      마지막으로 단국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의 조성제 교수는 지속가능한 디지털 경제 실현을 위해 필요한 과제를 디지털 신기술 R&D 발굴 및 인재양성, 인공지능(AI) 기술의 신뢰 확보와 인공지능 융합 기술의 활성화, 디지털 데이터 신뢰 및 안전한 데이터 활용 기술로 제시하고 중장기 디지털 기술 로드맵과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3부 세션의 종합토론은 좌장을 맡은 이희정 교수(차기 정보통신정책학회장,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의 사회로 최계영 선임연구위원(정보통신정책연구원 디지털경제연구실), 권남훈 교수(정보통신정책학회장, 건국대학교 경제학과), 김영한 교수(한국통신학회장, 숭실대학교 전자정보공학부), 심규석 교수(차기 한국정보과학회장,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가 참여했다.

      이번 컨퍼런스는 디지털 기술 및 이종산업 간의 융합과 그 와해적 영향, 코로나-19로 인해 가속화된 디지털 전환으로 야기되는 기회와 도전에 대한 학계 및 연구계의 포괄적인 통찰과 분석을 엿볼 수 있는 장이었으며 내년에도 디지털 대전환 메가트렌드 2년 차 연구로 연결될 예정이다.

    문의 : 디지털경제사회연구본부 디지털경제연구실 윤성욱 부연구위원(043-531-4235)

  • 부서대외협력팀
  • 담당자한유경
  • 연락처043-531-4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