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검색 검색 메뉴

보도자료

  • KISDI Premium Report(19-08) 버티컬 서비스 시장 동향과 주파수 정책적 시사점 - 스마트팩토리를 중심으로

    • 작성자 kisdi
    • 등록일 2019-11-19
    • 첨부파일 (KISDI 보도자료)KISDI Premium Report(19-08)5G 버티컬 서비스 시장 동향과 주파수 정책적 시사점 - 스마트팩토리를 중심으로(11.hwp (KISDI 보도자료)KISDI Premium Report(19-08)5G 버티컬 서비스 시장 동향과 주파수 정책적 시사점 - 스마트팩토리를 중심으로(11 (KISDI 보도자료)KISDI Premium Report(19-08)5G 버티컬 서비스 시장 동향과 주파수 정책적 시사점 - 스마트팩토리를 중심으로(11.pdf (KISDI 보도자료)KISDI Premium Report(19-08)5G 버티컬 서비스 시장 동향과 주파수 정책적 시사점 - 스마트팩토리를 중심으로(11
  • 모바일 바로가기 QR코드「KISDI Premium Report」(19-08) 5G 버티컬 서비스 시장 동향과 주파수 정책적 시사점 - 스마트팩토리를 중심으로

    글로벌 산업 경쟁력의 핵심이 될 5G 버티컬 산업
    경쟁력 향상을 위한 정책 방안 마련 필요

    ...........

    “국내 산업계의 핵심 분야인 제조업 경쟁력 향상과
    글로벌 5G 버티컬 산업 시장에서의 리더십 유지 위해
    스마트팩토리 중장기 표준 마련 필요
    5G 망의 기반설비 및 주파수 공급 방안 고려해야”


    이를 위해
    ▲향후 5G 기반으로 구축될 전용망 간의 통합과 이를 통한 산업생산의 효율성 창출까지 염두에 둔 장기 표준의 마련, ▲초기 5G 전용망 확산 속도, 지역 투자 활성화, 스마트팩토리 산업 현장과의 서비스 밀착도, 통신 및 연관시장 경쟁 활성화 등의 주요한 세부 정책목표 사이의 우선순위 설정, ▲이를 포괄할 수 있는 종합적 주파수 정책 수립 필요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원장 김대희)은 최근「KISDI Premium Report」(19-08) ‘5G 버티컬 서비스 시장 동향과 주파수 정책적 시사점 - 스마트팩토리를 중심으로’ 보고서를 발간했다.

      본 보고서는 5G를 기업간 서비스(B2B) 영역으로 확장한 5G 버티컬 산업에서의 경쟁력을 향후 글로벌 통신 시장에서의 리더십과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필수 요소로 주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시장의 변화를 전망하였다.

      첫째, 5G 도입과 함께 본격화될 MEC(Mobile Edge Computing), SDN (Software-Defined Network) 등의 기술은 5G 망의 구축과 운용에 있어서 높은 유연성을 부여하는 기술적 변곡점이 될 것이며, 이러한 기술적 변화는 B2C 시장을 중심으로 형성되던 통신사업자 및 관련 장비사업자의 주요 수익원이 B2B 시장으로 확대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둘째, 기존 B2C 시장과 달리, B2B 시장에서는 개별 수요자들의 특성에 맞춘 네트워크와 서비스의 제공을 통해 유연한 생산체계를 확보함으로써 산업 부가가치가 창출될 것이다. 이러한 수요에 부합하기 위해 통신사업자는 개별 산업별로 특화된 성능을 제공하는 맞춤형 서비스의 개발과 판매에 중점을 두게 될 것이며, 장비사업자 역시 유연한 망 체계 구축에 필요한 범용장비 및 SW의 개발 및 판매, 산업별로 특화된 망 설계 및 구축 등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려 할 것이다.

    주요 산업별 5G 버티컬 서비스 예시

      이러한 추세에서 스마트팩토리는 국내 산업계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제조업계의 대표적 5G 버티컬 서비스로 주목받고 있다. 스마트팩토리 도입과 관련한 주요한 정책 이슈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팩토리와 연계된 5G 전용망의 설치 및 서비스의 발굴 등이 모두 기존 통신사업자(MNO) 및 대기업 공장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중소기업 대상의 소규모 전용망 등에 대한 주목도는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있다.

      둘째, 기초 인프라 역할을 하는 전용망 도입 비용이 중소기업의 1차적 진입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현재의 서비스 방식으로는 고정비용이 상당하여 수요·공급 측 모두의 요구를 해결하기에는 한계점이 존재할 수 있다.

    중소기업 스마트팩토리 도입현황 및 도입계획

     이를 위한 정책적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향후 5G를 기반으로 구축된 전용망 간의 통합을 통한 산업생산의 효율성 창출까지 염두에 둔 장기 표준의 마련을 통해 도입을 원하는 기업의 장기적 수익성을 확보해 줄 필요가 있다.

      둘째, 초기 5G 전용망 확산의 속도, 지역 투자 활성화, 스마트팩토리 산업 현장과의 서비스 밀착도, 통신 및 연관시장의 경쟁 활성화 등의 주요한 세부 정책목표 간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이에 최적화된 주파수 정책의 수립이 바람직하다.

     

    문의 : 통신전파연구실 김희천 부연구위원(043-531-4221)

  • 부서대외협력팀
  • 담당자한유경
  • 연락처043-531-4383